본문 바로가기
영화&드라마

[기생충] 영화 속 소재: 계층 불평등, 비가 내리는 날, 냄새, 제목의 의미

by superpure 2024. 9. 15.

영화 '기생충' 속 궁금증을 자아내는 소재들: 계층 불평등과 인간의 본성

 봉준호 감독의 흥행작 영화 기생충은 2019년 개봉한 후부터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포함하여 4관왕을 차지했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가족 드라마가 아니라 현대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날카롭게 파헤치며 다양한 해석과 토론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영화 속에는 사회적 계층, 빈부 격차,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질문들이 숨겨져 있고, 이를 소재로 관객들은 여러 가지 궁금증을 자아낼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서 영화 '기생충' 속에서 다룬 흥미로운 몇 가지 주요 소재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1. 계층 불평등의 시각적 상징성

기생충에서 가장 알기 쉬운 소재 중 하나는 영화 전반에 걸쳐 계층 불평등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입니다. 특히, 지하에 사는 '김기택' 가족과 언덕 위 대저택에 사는 '박사장' 가족의 대비가 이를 극명하게 드러냅니다.

김기택 가족이 사는 반지하 집은 말 그대로 사회의 가장 하층민에 속한 사람들의 삶을 상징하며, 그들의 창문 밖으로 보이는 거리의 모습은 바로 쓰레기 더미와 주차된 자동차들입니다. 그와 대조적으로 박사장 가족은 넓은 정원이 있는 언덕 위의 대저택에서 삽니다. 이 집의 큰 창문을 통해 비치는 것은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과 따사로운 햇빛입니다. 이러한 시각적 대조는 단순한 공간의 차이를 넘어, 빈부 격차와 사회적 계층 구조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 시각적 상징성은 영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계층 간의 이동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떠오르게 합니다. 영화 속에서 김기택 가족이 대저택에 잠시나마 발을 들이는 순간은 그들이 자신의 위치를 벗어나 상류층의 삶을 잠시 체험하는 듯하지만, 그들의 삶은 여전히 그대로 입니다. 이 과정에서 관객들은 '현대 사회에서 최하층이 상류층이 되는것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볼 수 있게 됩니다.

2. 비가 내리는 날: 물에 잠긴 도시와 계층의 대비

영화 중반부, 비가 내리는 날 밤은 계층 간 불평등을 더욱 극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박사장 가족에게는 이 비가 그저 예쁜 풍경의 일부이자 낭만적인 추억으로 남지만, 김기택 가족에게는 삶을 위태롭게하는 재난으로 다가옵니다. 이 장면은 관객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왜 같은 비가 오는 환경이 사람마다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생각을 갖게 만듭니다.

박사장 가족이 사는 언덕 위의 집은 비가 오는 환경이 문제가 되기는 커녕, 오히려 아름답고 낭만적인 자연 경관으로 받아들여집니다. 반면 김기택 가족이 사는 반지하 집은 폭우로 인해 하수구 물이 역류해 집 안으로 들이차고, 모든 가구와 물건이 물에 잠깁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김기택 가족은 급하게 대피소로 피신하게 되고, 그곳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같은 처지로 비를 피해 모여 있는 장면이 연출됩니다.

이러한 장면은 현대 사회에서 재난이 계층에 따라 다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시사합니다. 자연재해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부유층은 안정적인 환경에서 여유를 즐기고, 하층민은 삶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같은 사회에서 어떻게 계층에 따라 다른 결과를 맞이하는가?'라는 궁금증을 갖게하고 많은 생각을 해보게 합니다.

3. 냄새로 드러나는 계층의 경계

기생충에서 '냄새'는 중요한 상징적 소재로 사용되었습니다. 박사장 가족은 김기택을 비롯한 그의 가족에게서 나는 '냄새'를 불쾌하게 여기며, 이를 통해 계층 간의 보이지 않는 벽이 나타납니다. 영화 속에서 박사장은 김기택에게서 나는 지하철 냄새를 "참을 수 없는 것"으로 표현하며, 그 냄새가 그들의 삶과 전혀 상관없는 다른 세상의 것임을 시사합니다.

김기택은 박사장이 자신과 같은 가난한 사람들을 냄새로 구별하고 그들 사이에 거리를 두려 한다는 것을 느끼고 점점 분노하게 됩니다. 결국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이 '냄새'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계층 간의 물리적이고 정량적인 차이가 아니라 눈에는 보이지 않는 경계와 차별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왜 특정한 냄새가 계층을 구분 짓는 상징으로 사용되었을까?'라는 질문은 영화가 던지는 중요한 의문 중 하나입니다. 냄새는 물질적 차이로 드러나지 않는 사회적 위치를 상징하며,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자신과 다른 계층을 구분 짓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소재는 현대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차별과 경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시사합니다. 생각해보면 현실에서도 매일 같이 건설 현장에서 막노동하는 하층민 일용직 노동자의 땀냄새와 에어컨이 하루 종일 틀어져 있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상류층 사장님의 냄새는 다르다는 인식을 떠오르게 합니다.

4. 기생충이라는 제목의 의미

영화의 제목 기생충 역시 많은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기생충'은 일반적으로 다른 생명체에 의존해 살아가는 생물을 뜻하지만, 이 영화에서 누가 '기생충'인지에 대한 것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해석이 존재합니다. 처음에는 김기택 가족이 박사장 가족에게 기생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영화가 진행되면서 관객은 박사장 가족 또한 그들의 부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주변 사람들의 노동에 의존하며 기생하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김기택 가족이 박사장 가족의 집에서 돈을 벌며 생계를 이어가는 것은 마치 '기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부유층도 자신들의 안락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난한 사람들의 노동에 의존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상호 의존적 관계를 통해 영화는 '과연 누가 진정한 기생충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이 질문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5. 영화의 결말과 현실의 벽

영화의 결말에서는 김기택이 박사장을 죽이고, 결국 지하실에 갇힌 채 살아가게 됩니다. 그의 아들 기우는 그를 구하기 위해 부자가 되어 집을 사겠다는 계획을 세우지만, 이 계획은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꿈으로 보입니다. 이 장면은 관객에게 '과연 계층 상승이 가능한가?'라는 의문을 남깁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영화는 현실 속에서 계층 상승의 벽이 얼마나 단단한지를 암시하며, 끝없는 사회적 불평등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를 보여줍니다.